재난현장을 누비는 소방안전 임무용 무인이동체, 소방관 대신 위험을 맡는다

고온·고습·연무 등 화재 현장에서도 임무수행 가능한 무인이동체 개발

[ 기사위치 뉴스홈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재난현장을 누비는 소방안전 임무용 무인이동체, 소방관 대신 위험을 맡는다

FM교육방송 - FCN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고온·고습·연무 등 화재 현장에서도 임무수행 가능한 무인이동체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124()에 재난안전 임무용 육해공 무인이동체 개발 연구수행기관 선정계획을 공고하고, 올해 총 10억원(2028년까지 총 18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재난안전 임무용 육해공 무인이동체 개발 사업은 공장·물류센터 등 대규모 시설의 화재 초기진화 이후 내부를 수색하는 과정에서 매년 소방관들이 목숨을 잃는 사례를 줄이고자, 무인이동체를 활용한 소방관 안전 확보와 실내수색 및 구조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둔 연구개발사업이다.


(소방관 사망사례) 이천 쿠팡 물류센터 화재(2021.6, 1명 사망), 평택 냉동창고 화재(’22.1, 3명 사망), 문경 공장화재(2024.1, 2명 사망)


< 대형화재 속 무인이동체 운영개념도 >

대형화재 속 무인이동체 운영개념도.jpg


이 사업은 복사열 200(주변온도 80), 연무로 인한 가시거리 1m 이내의 극한의 조건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도전적인 사업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내열·내습 성능을 갖춘 드론과 육상무인이동체(UGV)를 개발하고, 고온·고습·가시성 저하 등으로 무인이동체 운용이 어려운 실내 환경에서 센서융합·상대항법 등 기술개발을 통한 정밀 수색 임무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울러 현재 진행 중인 과기정통부 무인이동체원천기술개발(2020~2027) 사업을 통해 축적된 탐지인식, 통신, 자율지능, 동력원, 인간-무인이동체 의사소통기술(HMI) 등의 원천기술이 재난 현장에 적용되어, 국가연구개발 사업 간 이어달리기의 우수모델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수행기관 선정 공고는 2025124일부터 224일까지 한달 간 진행된다. 제안요청서 등 공고 사항은 과기정통부(www.msit.go.kr), 한국연구재단(www.nrf.re.kr) 누리집에서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공고기간 동안 접수된 연구계획서는 3월 선정평가를 거치며, 선정된 연구수행기관은 4월부터 연구에 착수하게 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그간 축적한 무인이동체 기술을 집약하여 금번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을 강조하고, “향후 무인이동체가 소방관보다 실내수색에 먼저 진입해 요구조자의 존재, 위치, 효율적인 실내수색 경로 정보를 파악하여 소방관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실내수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fmebsnews  

<저작권자 © FM교육방송 - FCN,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