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와 예술, 전통과 현재가 맞닿는 순간

2025년 「WITH 무형유산」 공연 ‘윤슬, 함께 빛나는 각각의 물결’ 개최(4.25.~26. 국립무형유산원)

[ 기사위치 생활/문화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장애와 예술, 전통과 현재가 맞닿는 순간

FM교육방송 - FCN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2025년 「WITH 무형유산」 공연 ‘윤슬, 함께 빛나는 각각의 물결’ 개최(4.25.~26. 국립무형유산원)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박판용)은 오는 425일 오후 730분과 26일 오후 4시에 국립무형유산원 대공연장(전북 전주시)에서 윤슬, 함께 빛나는 각각의 물결이라는 주제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지는 상설공연 WITH 무형유산을 개최한다.


2011년 설립된 장애인문화예술공동체 사람사랑을 주축으로 기획된 이번 공연에서는 시각·지체·지적·청각장애를 가진 예술가들이 각자의 역량을 펼치며 전통예술의 새로운 가능성과 문화적 포용의 가치를 조명한다. ‘사람사랑장애를 예술로, 예술을 나눔으로라는 구호 아래 장애인 예술교육, 복지시설 방문공연, 장애인과 함께 하는 국악무대 등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는 문화예술 전문단체이다.


이번 공연은 사물놀이를 기반으로 한 사물시나위’, 타악과 선율이 결합된 음악난타’, 궁중무용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춘앵전과 모란춤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되며, 각 프로그램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협업하여 전통예술의 확장성과 감동을 동시에 전달한다.


윤슬 함께 빛나는 각각의 물결.jpg


윤슬 함께 빛나는 각각의 물결2.jpg


장애인문화예술공동체 ‘사람사랑’ 공연 장애인국악공연 마음나눔.jpg

< 장애인문화예술공동체 ‘사람사랑’ 공연 참고사진(장애인국악공연 마음나눔, ‘24.11.6.>


특히 시각장애를 가진 보성소리최예나 명창이 부르는 판소리 수궁가무대에는 국가무형유산 판소리(고법) 김청만 보유자가 함께하여 더욱 깊은 울림을 전하며, 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예술감독인 김영길 명인이 아쟁산조독주 무대를 선보이는 등 원로 전통예술인들이 함께 출연하여 공연의 예술적 깊이를 더한다. 오랜 시간 국악계에서 전통을 지켜온 두 명인의 참여를 통해 단순한 무대를 넘어 세대와 경험, 전통과 현재가 어우러지는 상징적 예술의 장으로 거듭나는 모습을 보여줄 것이다.


이번 공연은 무료로 진행되며, 관람 예약은 416일 오전 9시부터 국립무형유산원 누리집(www.nihc.go.kr)을 통해 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전화(063-280-1500, 1501)로 문의하면 된다.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은 이번 WITH 무형유산공연을 통해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넘어선 문화예술의 장을 만들고자 하며, 앞으로도 무형유산이 모든 세대와 계층이 함께 향유할 수 있는 살아 있는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적극행정을 이어갈 계획이다.



fmebsnews  

<저작권자 © FM교육방송 - FCN,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