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교통사고 사망자 2,521명, 2013년부터 12년 연속 감소 추세

사고 196,349건(1.0%↓) 사망 2,521명(1.2%↓) 부상 278,482명(1.9%↓) 음주 교통사고 사망자는 21명(13.2%↓) 감소

[ 기사위치 경제/사회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2024년 교통사고 사망자 2,521명, 2013년부터 12년 연속 감소 추세

FM교육방송 - FCN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사고 196,349건(1.0%↓) 사망 2,521명(1.2%↓) 부상 278,482명(1.9%↓) 음주 교통사고 사망자는 21명(13.2%↓) 감소

경찰청(청장 직무대행 이호영)“2024년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521명으로 지난해(2,551)보다 1.2% 감소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라고 밝혔다.


이는 한 해 최대 사망자 수를 기록한 1991(13,429)과 비교하여 81.2%가 감소한 수치이다.


교통사고 건수 역시 196,349건으로 지난해(198,296)보다 1%(1,947) 감소하였고, 교통사고 부상자 역시 지난해(278,482)보다 1.9%(5,317) 감소했다.


주요 분야별 교통사고 사망자를 구분하여 살펴보면, 음주운전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138명으로 음주운전 방지장치 도입 등 제도개선 등에 따른 영향으로 지난해(159)보다 13.2%(21) 감소하였다. 음주운전 사망자는 2020(287)과 비교하여 4년 만에 절반 아래로 감소(-51.9%)한 수치이다.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는 920명으로 지난해(886)보다 3.8%(34) 증가하였는데, 이 중 65세 이상 고령자 비중은 67.0%(616)로 지난해 62.1%(550)에 비해 증가하였는데, 이는 인구 고령화도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 풀이된다.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761명으로 지난해(745)보다 2.1%(16) 증가하였다. 다만, 고령자 운전면허 소지자 증가로 고령 면허소지자 10만 명당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2024년 기준 14.7명으로 최근 5년 동안 감소 추세에 있다.


한편, 고속도로 교통사고 사망자는 지난해(186)보다 0.5%(1) 증가에 반해, 이륜차로 인한 사망자도 361명으로 지난해(392)보다 7.9%(31) 감소하였으며 화물차로 인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594명으로 지난해(595)보다 0.2% 감소했다.


지역별 증가율은 특별, 광역지역에서 울산(13, 34.2%), 서울(33, 18.6%), 대구(10, 13.7%) 순으로, () 단위 지역에서는 충남(31, 15.3%), 제주(3, 6.7%), 전북(3, 1.8%) 순으로 증가했다.


특히, 사망자 감소율은 특별, 광역지역에서는 세종(5, 41.7%), () 단위 지역에서는 강원(19, 13.6%)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경찰청 생활안전교통국장(치안감 한창훈)교통사고 사망자가 2024년에 지난해보다 30명 줄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운전자 등 차량에 탑승한 사람의 교통사고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안전띠, 안전모 착용 문화의 정착이 더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또한, 보행자 사망사고를 낮추기 위해 보행자 보호를 위한 시설개선 및 교통안전 활동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며, 어르신 대상 교통안전교육 등을 통해 고령자 교통사고 감소를 위해서도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강조했다.


< 연도별 교통사고 현황 >



구 분

사고()

사망()

부상()

비 고

1991

265,964

13,429

331,610

역대 최다 사망

1992

257,194

11,640

325,943

1993

260,921

10,402

337,679

1994

266,107

10,087

350,892

1995

248,865

10,323

331,747

1996

265,052

12,653

355,962

1997

246,452

11,603

343,159

1998

239,721

9,057

340,564

1999

275,938

9,353

402,967

2000

290,481

10,236

426,984

2000년 이후 최다 사망

2001

260,579

8,097

386,539

2002

231,026

7,222

348,149

2003

240,832

7,212

376,503

2004

220,755

6,563

346,987

최다 사망 기점 1차 반감기

2005

214,171

6,376

342,233

2006

213,745

6,327

340,229

2007

211,662

6,166

335,906

2008

215,822

5,870

338,962

2009

231,990

5,838

361,875

2010

226,878

5,505

352,458

2011

221,711

5,229

341,391

2012

223,656

5,392

344,565

2013

215,354

5,092

328,711

2000년 기점 반감기

2014

223,552

4,762

337,497

사망자 5,000명 이하

2015

232,035

4,621

350,400

2016

220,917

4,292

331,720

2017

216,335

4,185

322,829

2018

217,148

3,781

323,037

2019

229,600

3,349

341,712

2020

209,654

3,081

306,194

최다 사망 기점 2차 반감기

2021

203,130

2,916

291,608

사망자 3,000명 이하

2022

196,836

2,735

281,803

2023

198,296

2,551

283,799

2024

196,349

2,521

278,482



fmebsnews  

<저작권자 © FM교육방송 - FCN,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