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굴현장에서 만나는 살아있는 고고학

고고학 전공생(3·4학년) 대상 전국 11곳 발굴현장 실습 ‘2025 여름 발굴캠프’(6.23.~7.9.)… 접수 4.14.~25.

[ 기사위치 생활/문화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발굴현장에서 만나는 살아있는 고고학

FM교육방송 - FCN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고고학 전공생(3·4학년) 대상 전국 11곳 발굴현장 실습 ‘2025 여름 발굴캠프’(6.23.~7.9.)… 접수 4.14.~25.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원장 임종덕)은 한국고고학회(회장 이성주)와 함께 623일부터 79일까지 약 3주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발굴조사 현장실습 교육과정인 여름 발굴캠프를 개최하기로 하고, 414일부터 25일까지 참가자 50명을 모집한다.


여름 발굴캠프는 국가유산청에서 추진 중인 매장유산 제도개선의 일환으로, 대학생들에게 문화유산 보존의 중요성을 알리고, 직접적인 발굴조사 경험을 제공하여 미래의 전문가로 성장할 기회를 마련하고자 2021년부터 국립문화유산연구원과 한국고고학회가 공동으로 운영해 온 고고학 현장실습 교육과정이다.


2025년 여름 발굴캠프.jpg


참가자들은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의 지역별 주요 유적 발굴조사에 직접 참여하게 되며, 교육과정의 강사진은 학계 전문가와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의 현장 연구진으로 구성된다.


2025년 여름 발굴캠프 현장실습 유적(서울 경복궁).jpg

2025년 여름 발굴캠프 현장실습 유적(서울 경복궁)


이번 발굴캠프는 623일부터 79일까지 약 3주간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첫째 주에 공통 교육과정으로 고고유적 조사 및 연구 방법에 대한 다양한 공통 이론 교육을 들은 뒤, 둘째 주와 셋째 주에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의 주요 유적 발굴현장에서 실습 교육에 참여하게 된다.


2024년 여름 발굴캠프 현장실습(부여 관북리 유적).jpg

2024년 여름 발굴캠프 현장실습(부여 관북리 유적)


2024년 여름 발굴캠프 현장실습(김해 봉황동 유적).jpg

2024년 여름 발굴캠프 현장실습(김해 봉황동 유적)


현장실습 대상 유적지는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의 경주 쪽샘·월성·동궁과 월지,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의 부여 부소산성·관북리 유적·익산 왕궁리 유적,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의 김해 봉황동 유적·함안 가야리 유적, 국립나주문화유산연구소의 나주 복암리 유적, 국립중원문화유산연구소의 충주 장미산성,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의 서울 경복궁까지 총 11곳이다.


2025년 여름 발굴캠프 현장실습 유적(경주 동궁과 월지).jpg

2025년 여름 발굴캠프 현장실습 유적(경주 동궁과 월지)


2024년 여름 발굴캠프 현장실습(완주 상운리 원상운 고분군).jpg

2024년 여름 발굴캠프 현장실습(완주 상운리 원상운 고분군)


참가 대상은 매장유산 발굴조사에 관심 있는 고고학 관련 학과의 3·4학년 대학생 50명이며, 현장실습 희망 유적과 일정을 고려하여 414일부터 425일까지 한국고고학회 전자우편(kras1976@naver.com)으로 지원서를 제출하면 된다. 선발된 참가자에게는 57일 개별 문자가 발송될 예정이다.


2024년 여름 발굴캠프 수료식(‘24. 7. 12.).jpg

 2024년 여름 발굴캠프 수료식(‘24. 7. 12.)


2025년 여름 발굴캠프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한국고고학회 누리집(http://kras.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앞으로도 한국고고학회와 협력하여 여름 발굴캠프의 교육과정을 더욱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고, 미래 문화유산 전문가 양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fmebsnews  

<저작권자 © FM교육방송 - FCN,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