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디지털트윈 구축으로 디지털플랫폼 정부 실현한다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발표

[ 기사위치 경제/사회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국가 디지털트윈 구축으로 디지털플랫폼 정부 실현한다

FM교육방송 - FCN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발표

국가 디지털트윈 구축으로 디지털플랫폼 정부 실현한다


-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발표 -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향후 5년간의 국가공간정보 정책 추진방향을 제시하는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23~2027)’을 확정·발표했다.


국가디지털트윈 유통체계 구축을 위한 공간정보 플랫폼 재편
국가디지털트윈 유통체계 구축을 위한 공간정보 플랫폼 재편.png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은 국가공간정보기본법에 따라 수립되는 공간정보 분야의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전문 연구기관(국토연구원)의 연구용역(’22.7월~’23.4월)을 통해 전문가와 종사자 등 다양한 의견수렴을 거쳤으며, 공청회 개최(’22.12월), 관계부처 협의, 국가공간정보위원회 심의(’23.6월)를 거쳐 확정됐다.


공간정보는 자율차, 무인이동체, 배달로봇 등 미래 사회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혁신기술 실현의 기반이 되는 디지털 인프라로, 디지털트윈, 메타버스 등 신기술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국가공간정보 디지털트윈 체계 개념도.png

국가디지털트윈 구현단계.png
출처: 정보통신기획평가원(2021). 디지털 트윈 기술 K-로드맵. p.18

국가공간정보 디지털트윈 체계 개념도
디지털트윈 구현단계


이에, 제7차 기본계획에서는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융복합 산업을 활성화하고 디지털플랫폼 정부 실현을 지원하기 위해 “모든 데이터가 연결된 디지털 대한민국 실현”을 비전으로 4대 추진전략 및 12개 추진과제를 도출했다.


국가 차원의 디지털트윈 체계 구축을 통한 데이터의 연계·활용 기반 마련을 위해 여러 부처·기관간 협업을 강화하고, 관련 인재양성 및 기술개발 등 투자를 확대하며, 디지털트윈에 대한 표준 및 가이드라인도 마련하여 효율적인 디지털트윈 구축과 활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박건수 국토정보정책관은“이번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 수립을 계기로 ''27년까지 약 3조 7천 7백억원을 투입해 위치기반 융복합 산업이 활성화되고 공간정보 분야의 국제경쟁력도 강화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FM교육방송 - FCN,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