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고령인구(70세~84세)20년 전보다 키 크고 날씬해져

- 키는 남 2.9cm, 여 2.7cm 증가, 몸무게는 남 5.1kg, 여 1.0kg 증가

[ 기사위치 생활/문화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한국인 고령인구(70세~84세)20년 전보다 키 크고 날씬해져

FM교육방송 - FCN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 키는 남 2.9cm, 여 2.7cm 증가, 몸무게는 남 5.1kg, 여 1.0kg 증가

한국인 고령인구(70세~84세)20년 전보다 키 크고 날씬해져


- 키는 남 2.9cm, 여 2.7cm 증가, 몸무게는 남 5.1kg, 여 1.0kg 증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 이하 국표원)은 4.6일 ‘사이즈코리아 성과발표회’를 개최하고 한국인 70~84세 고령인구의 인체치수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20여년 사이 우리나라 고령층은 남자와 여자의 평균 키가 각각 2.9cm, 2.7cm 증가하여 체격이 커지고, 허리와 등이 곧은 ‘바른체형‘이 증가했다. 아울러, 남자의 비만도는 증가한 반면, 여자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8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1979년부터 의류, 생활용품 등 제품과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우리나라 국민의 인체치수 데이터를 수집·보급하는 세계유일의 국가차원 데이터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이번 고령자 조사는 2~3년 내로 다가온 초고령사회에 대비하여 ‘14년 이후 약 8년 만에 실시되었으며, 휠체어 등 고령자를 위한 이동·이송 용품과 부상방지 패드, 교정기 등의 의료·헬스케어 용품 등 고령자에게 적합한 고령친화 제품과 서비스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고령자 대상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결과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키, 몸무게) 한국인 고령자의 평균 키{평균 키(’03→‘14→’22년) : 남 162.8 → 162.0 → 165.7cm, 여 149.4 → 149.1 → 152.1cm}는 남자 165.7cm, 여자 152.1cm, 평균 몸무게{평균 몸무게(’03→‘14→’22년) : 남 61.6 → 63.6 → 66.8kg, 여 55.7 → 55.7 → 56.7kg}는 남자 66.8kg, 여자 56.7kg을 기록해, ‘03년도 이후 지난 20년 사이 고령자의 키는 남자 2.9cm, 여자 2.7cm, 몸무게는 남자 5.1kg, 여자 1.0kg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고령자 평균 키 및 몸무게 변화>

한국인 고령자 평균 키 및 몸무게 변화.png


(체형변화) 3차원 스캐너로 얻어진 인체형상 데이터를 보면, 남녀 고령자 모두 상반신 길이 비율을 나타내는 앉은키 비율(앉은키/키)이 증가하고, 허리가 굽지 않고 바로 선 이른바 ‘바른체형‘의 비율이 83.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소득수준 향상과 꾸준한 자기관리 등으로 인해 전래동요에 등장하는 숙인체형의 할머니, 할아버지보다는 허리가 꼿꼿한 바른체형의 어르신이 많아졌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고령자 체형분류 기준 예시>
<고령자 체형분류 결과>

고령자체형분류기준예시.png

고령자 체형분류 결과.png


(몸통형태) 또한, 몸통의 납작한 정도를 나타내는 편평률()이 증가해, 어깨가 넓어지고 가슴과 엉덩이 두께가 줄어든 납작한 형태로 변했다.


<한국인 고령층의 편평률 변화에 따른 인체형상 변화 (‘14년 → ’22년)>

한국인 고령층의 편평률 변화에 따른 인체형상 변화.png


(비만도) 고령자 전체 측정 대상 중 1/3 이상이 비만으로 분류되어(남자 38.3%, 여자 42.2%) 남자의 비만율이 여자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남자의 평균 체질량지수(BMI, 몸무게/키2)는 꾸준히 증가해온 반면, 여자의 평균 체질량지수는 이전 조사 대비 감소했다.


한국인 고령층의 비만도에 따른 인체형상 모델.png


한편, 국표원은 이날 관련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성과발표회에서 고령자 인체치수조사 결과 외에 그간의 인체치수 보급·확산 사례를 공유하고 향후 사이즈코리아 사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 사이즈코리아 성과발표회 개요 】

일시/장소: ‘23. 4. 6. 14:00 / 서울 롯데월드타워 스카이31 컨벤션 컨퍼런스A홀

참석자: 표준정책국장, 인체데이터 활용 기업, 사이즈코리아 사업 관계자, 고령자·어린이 유관 협단체 및 고령자 제품제조 기업 관계자 등 산학연 50여명

주요내용: 고령자 인체치수조사 결과 및 활용사례 발표, 사업성과 전시·체험 등


오광해 표준정책국장은 “이번 조사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고령화 상황에서 향후 어르신들의 편의를 위한 각종 제품 및 서비스 설계에 활용될 수 있는 최신 기초 데이터를 시의적절하게 확보한 것에 그 의미가 있다.“고 평가하고,


“앞으로 사이즈코리아 사업이 디지털·헬스케어 등 신산업분야에서의 인체데이터 활용에 대한 다양한 시대적·산업적 요구를 담아내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FM교육방송 - FCN,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