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문화교류의 해’로 문화 대교(大橋) 만들고, 새로운 도약 다짐

2021~2022 한중 문화교류의 해’ 폐막식 온라인 개최

[ 기사위치 생활/문화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한중 문화교류의 해’로 문화 대교(大橋) 만들고, 새로운 도약 다짐

FM교육방송 - FCN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2021~2022 한중 문화교류의 해’ 폐막식 온라인 개최

‘한중 문화교류의 해’로 문화 대교(大橋) 만들고, 새로운 도약 다짐


2021~2022 한중 문화교류의 해’ 폐막식 온라인 개최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중국 문화여유부(부장 후허핑)와 함께 12월 28일(수) 오후 7시(한국 시각), ‘2021~2022 한중 문화교류의 해’ 폐막식을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한중 문화교류의 해’ 공식 유튜브(https://youtu.be/N0omrv3ECzs)와 네이버티브이(https://tv.naver.com/l/123021), 문화여유부 및 중국 중앙민족악단 온라인채널에서 볼 수 있다.


한국과 중국은 수교 30주년(2022. 8. 24.)을 기념하고 문화교류와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지난해에 ‘2021~2022 한중 문화교류의 해’를 선포하고, 다양한 문화 예술 분야에서 흥미롭고 뜻깊은 행사를 함께 진행했다. 이를 통해 양국 국민은 서로의 역사와 문화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 신뢰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앞으로 양국 교류와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는 기반을 다졌다.


20212022한중문화교륙의해 개막식서울동대문디자인프라자.png
사진설명: ''2021-2022 한중 문화교류의 해'' 개막식, 서울 동대문디자인프라자<자료제공=문체부>


이번 폐막식에서는 한국 대표 문체부 박보균 장관과 중국 주재 정재호 한국대사, 중국 대표 문화여유부 후허핑 부장 등이 ‘2021~2022 한중 문화교류의 해’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영상으로 축하하고 지난 2년 동안의 문화교류 성과를 소개한다.


한국과 중국은 지난해 9월 15일(수), 서울에서 ‘2021~2022 한중 문화교류의 해’ 개막식을 개최한 이후 ‘문화로 나눈 우정, 미래를 여는 동행’을 주제로 다채로운 문화행사를 펼쳐왔다.


수교 30주년인 올해 8월 24일에는 문체부와 문화여유부가 공동으로 온라인 음악회를 열어 한국의 수제천, 중국의 민요 관현악 등 양국의 대표적인 전통음악을 소개했다. 10월에는 한국 국립극장에서 양국 청년 예술가들이 창작연극 <달뜬 밤, 한길로>를 무대에 올려 예술적 영감을 나누었고, 11월에는 예술의전당에서 피아노 연주자 선우예권과 랑랑이 음악으로 하나 되는 환상적인 클래식 무대를 연출했다.


20212022한중문화교류의해 개막식부대행사미디어파사드.png
사진설명: ''2021-2022 한중 문화교류의 해'' 개막식, 부대행사 미디어 파사드 <자료제공=문체부>


코로나19 상황임을 고려해 온라인 교류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한중 문화랜선투어(’22년 1~3월)’를 통해 양국의 매력적인 지역문화를 소개하고, ‘현대미술 작가 온라인 교류전(’22년 8~10월)’을 개최해 양국 예술인들이 서로 마음을 활짝 열고 신뢰를 돈독히 하는 시간을 보냈다. 한중 관광교류, 한중 저작권 토론회(포럼), 한중 아동문학작가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문화교류와 협력 사업을 추진했다.


20212022한중문화교류의해한중수교30주년온라인음악회.png
사진설명: ''2021-2022 한중 문화교류의 해''  한중 수교 30주년,  온라인음악회<자료제공=문체부>


이번 폐막식에서는 양국의 멋진 축하공연도 볼 수 있다. 한국은 전통춤의 멋을 현대적 감각으로 보여주는 국립무용단의 <묵향>과 국립국악관현악단과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개·폐막식 음악감독 양방언이 호흡을 맞춘 <인투 더 라이트(Into The Light)>를 선보인다. 선우예권과 랑랑은 브람스 자장가와 헝가리 무곡 제5번을 함께 연주해 다시 한번 양국 우정과 화합의 무대를 선사한다.


중국은 중앙민족악단의 연주곡으로 중국 전통 민요를 새롭게 변주한 ‘국풍(國風)’, 가족들과 즐겁게 섣달 그믐밤을 보내는 장면을 표현한 ‘양소(良宵)’, 낙관적인 삶을 노래하고 행복을 비는 비파 연주곡인 ‘복길천장’, 봄의 꽃과 가을의 열매를 표현한 ‘춘화추실(春華秋實)’을 선보인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FM교육방송 - FCN,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