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영상·음향품질 등 주요 성능 차이 있어
구입 시 사용 목적·가격 등을 고려하여 제품 선택해야
TV, 영상·음향품질 등 주요 성능 차이 있어
FM교육방송 - FCN | fmebsnews
구입 시 사용 목적·가격 등을 고려하여 제품 선택해야
TV, 영상·음향품질 등 주요 성능 차이 있어
- 구입 시 사용 목적·가격 등을 고려하여 제품 선택해야 -
OTT{OTT(Over The Top) : 인터넷을 통해 영화, 드라마 등 각종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VOD 서비스를 통해 영화,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등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면서 TV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주요 브랜드 TV 6개 제품(고가형/중저가형)을 시험평가한 결과, 일반화질(SDR:SDR(Standard Dynamic Range) 영상 : 밝기의 범위를 확장하지 않은 일반적인 영상) 영상, 시야각, 동영상 끌림 등의 성능은 전 제품이 양호한 수준이었으나, 고화질(HDR:HDR(High Dynamic Range) 영상 : 밝은 곳은 더 밝게, 어두운 곳은 더 어둡게 만들어 밝기의 범위를 확장한 영상) 영상과 음향품질은 제품 간 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됐다.


항목별 주요 시험평가 결과는 일반(SDR) 영상품질, 제품 간 성능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시청 화질인 SDR영상에 대한 시험평가(명암비, 색정확성, 색재현성, 컬러볼륨, 감마 정확성, 밝기 균일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함.) 결과, 삼성전자(KQ65QNB95AFXKR), LG전자(OLED65G2KNA) 등 고가형 2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매우 우수'' 했다.
중저가형 중에서는 더함(UG651QLED), 삼성전자(KU65UB8000FXKR), 이스트라(AU653QLED) 등 3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 LG전자(65UQ9300KNA) 제품은 ''양호''한 수준이었다.
HDR 영상품질, 제품 간에 성능 차이 컸으며 HDR영상품질은HDR이 적용된 고화질 영상에 대한 화질을 시험평가(최대밝기, 색정확성, 색재현성, 컬러볼륨, EOTF(PQ)를 종합적으로 평가함.)한 결과, 삼성전자(KQ65QNB95AFXKR), LG전자(OLED65G2KNA) 등 고가형 2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매우 우수''했다.
중저가형 중에서는 더함(UG651QLED) 제품이 ''양호'', 삼성전자(KU65UB8000FXKR), 이스트라(AU653QLED), LG전자(65UQ9300KNA) 등 3개 제품은 ''보통'' 수준으로 제품 간에 성능 차이가 상대적으로 컸다.
좌우 측면(45°)에서 시청했을 때 정면 대비 밝기·색상의 변화 정도로 시야각을 시험평가한 결과, LG전자(OLED65G2KNA/고가형) 제품이 밝기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어 ''매우 우수''했다.
삼성전자(KQ65QNB95AFXKR/고가형, KU65UB8000FXKR/중저가형), 더함(UG651QLED), LG전자(65UQ9300KNA/중저가형) 제품은 ''우수'', 이스트라(AU653QLED) 제품은 ''양호'' 수준으로 평가되어 제품 간에 성능 차이가 있었다.
동영상끌림은 2개 제품이 ‘매우 우수’, 입력지연(9㎳~14㎳)은 제품 간 차이 적었다.
빠르게 움직이는 화면에서 끌림이나 번짐의 정도를 시험평가한 결과, 삼성전자(KQ65QNB95AFXKR), LG전자(OLED65G2KNA) 등 고가형 2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매우 우수''했다.
중저가형 중 더함(UG651QLED) 제품은 ''우수'', 삼성전자(KU65UB8000FXKR), 이스트라(AU653QLED), LG전자(65UQ9300KNA) 등 3개 제품은 ''양호''한 수준이었다.
입력지연은외부장치에서 입력된 화면 신호(게임기 등)가 얼마나 빨리 화면에 표시되는지를 시험평가한 결과, 제품별로 최소 9ms~최대 14ms 수준으로 차이가 크지 않았다.
원음을 왜곡 없이 재생하는지 여부를 시험평가(주파수응답, 유효주파수 비율, 총고조파왜곡률을 종합적으로 평가함.)해 음향품질을 확인한 결과, ''매우 우수''한 제품은 없었고, LG전자(OLED65G2KNA/고가형)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삼성전자(KQ65QNB95AFXKR/고가형, KU65UB8000FXKR/중저가형), 이스트라(AU653QLED), LG전자(65UQ9300KNA/중저가형) 제품은 ''양호'', 더함(UG651QLED) 제품은 ''보통'' 수준이었다.
제품 작동(표준또는기본모드) 및 대기 시 소비전력량을 측정하여 연간소비전력량(1일 6시간 사용(표준 또는 기본모드), 18시간 대기(네트워크 기능 ON)하는 조건으로, kWh 당 단가는 160원(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을 적용한 결과이며, 시험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및 연간에너지비용(전기요금:삼성전자(KU65UB8000FXKR) 제품이 244kWh(39,000원)로 소비전력량이 가장 적었고, 더함(UG651QLED) 제품은 318kWh(51,000원)로 가장 많았다. )을 환산한 결과, 제품별로 최대 1.3배(244kWh[39,000원]~318kWh[51,000원]) 차이가 있었다.
연간소비전력량을 연간CO2배출량{CO2배출량 kWh당 0.425kg 적용(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으로 환산한 결과, 제품 간 최대 31㎏(104㎏~135㎏)의 차이가 있었다.
안전성·표시사항은감전보호(누설전류), 전도안정성 등의 안전성과 표시사항은 제품 모두 이상이 없었다.
제품별로 화질, 음향, 스마트기능, 콘텐츠, 지상파 UHD 방송수신 등의 부가기능에 차이가 있어 필요한 기능을 확인하고 제품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 TV 제품 구매·선택 가이드 >
제품별로 주요 성능(영상품질·시야각, 음향품질 등)·가격·편의기능 등에 차이가 있으므로 시험평가 결과를 참고해 사용 목적과 선호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제품 선택이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앞으로도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영상·디지털 가전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품질비교 정보와 친환경 소비문화 확산을 위한 환경성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FM교육방송 - FCN,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