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Bexco에서「2022 드론쇼 코리아」개최
산업과 일상을 넘나드는 드론의 무한한 확장
부산 Bexco에서「2022 드론쇼 코리아」개최
FM교육방송 - FCN | fmebsnews
산업과 일상을 넘나드는 드론의 무한한 확장
부산 Bexco에서「2022 드론쇼 코리아」개최
- 산업과 일상을 넘나드는 드론의 무한한 확장 -
부산 Bexco에서 국내 최대 드론 전시회 및 콘퍼런스인 「2022 드론쇼 코리아(Drone Show Korea 2022)」24일 개최 한다.
「2022 드론쇼 코리아」는 ‘드론, 산업을 연결하다(Connected By Drone)’라는 주제로 드론 산업의 확장성에 주목해 드론으로 구현될 산업간 융·복합 사례를 소개하고 최신 기술이 일상에 적용된 다양한 드론 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다.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되는 전시회는 작년에 이어 수소, 해양, 공간정보, AI 등 드론의 주요한 이슈들로 협력하는 기관/기업들의 참여가 더욱 두드러지고 ‘드론실증도시관’, ‘드론규제샌드박스관’, ‘KRAUV(한국무인이동체연구조합) 공동관’, ‘DaaS(Drone as a Service)기반 글로벌오션시티 구축관’ 등의 공동관에서는 드론서비스·기술에 대한 연구성과 및 일상과의 접점 사례들을 소개할 계획이다.
24일~25일 이틀에 걸쳐 진행되는 콘퍼런스는 1일차엔 정부정책, UAM/AAM(기조) 등이 준비되어 있고 2일차에는 2개의 트랙으로 나뉘어 진행한다.
산업부는 24일 오전 컨퍼런스 “정부정책 세션”을 통해 「미래형 항공기체(AAV) 개발 전략 방향」을 발표한다.
산업부는 미래항공과 관련해 ‘UAM'', ''RAM'',''AAM'' 등이 혼재되어 사용되고 운행방식인 PAV, eVTOL 등도 함께 언급되다 보니 혼란스럽다고 하면서 ’AAM‘과 ’AAV‘로 상위 개념을 정립하자고 제안했다.
AAV는 자율비행과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으로 장시간 비행이 가능한 미래지향적인 비행체를 의미하며 전기식 항공기(고정익, 회전익), 도심운용 항공기(수직이착륙기)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2018년부터 전세계적으로 AAV 개발업체가 급증해 현재는 200개 이상의 회사가 개발 중으로, 일부 선도 업체는 인증 절차에 착수해 2023~25년 미국연방항공청[FAA(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과 유럽항공안전청[EASA(European Aviation Safety Agency)]에서 인증된 기체를 확보할 예정이다.
- 국내는 한화시스템과 현대자동차가 해외기업과 1세대 기체개발사업에 참여중이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OPPAV[(Optional Piloted Personal Aerial Vehicle) : 자율비행개인항공기] 시험기체를 개발중이다.
민간항공기 제작 시장은 국내 기업이 참여하기에 후발 주자로써의 어려움이 있으나 AAV 시장 생태계는 최근 형성중으로 차세대(2세대급이상)비행체를 개발해 경쟁사를 능가하는 차별적 핵심기술 확보로 세계시장 진출이 가능하다.
AAV 생태계 조성과 국제 공급망 진입을 위해 ①국내 메이커 해외 개발 1세대 기종에 국내개발 부품을 탑재한 파생형 기종 개발 및 국제공동개발사업 참여를 위한 시스템 개발 지원 ②국방 수요 기반으로 산업부·국방부·방사청·국토부 협력 군용AAV 개발 정책방향 제시한다.
첫번째 전략은 국내 기업이 해외에서 개발하는 1세대 기체의 파생형 인증기체(ATC, STC) 개발과 국제공동기술개발 사업 참여를 통해 차세대(2세대) AAV 형식증명기(국내외 TC 확보) 개발 및 글로벌 가치사슬을 주도한다.
파생형 인증기체는 두 종류로 ATC(수정형식승인) 의 기본 형태의 항공기가 있고, 파생된 버젼에 부여되는 인증과 STC(부가형식증명)의 설계변경 관련 규정과 항공기기술기준을 충족함을 입증하는 승인이 있다.
두번째 전략은 군용 AAV 맞춤형 개발 및 제작·운용·인증기술 개발을 국토부·과기부·국방부·방사청 등 관계부처와 협력으로 추진하고 향후 소방청·경찰청 등 관용 AAV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유인 수송용과 무인화물용, 레저용 등 민수 사업화를 추진하고 동남아, 중동, 호주 등과 국제협력 벨트 구축 추진하기로 했다.
세번째 전략은 AAV 시장진입을 위해 핵심시스템인 수소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수소가스터빈, 고신뢰성추력모터, 전기식작동기, 통합항공전자, 경량고강도기체, 인증기반 지상시험설비 운용 기술의 확보도 병행 추진 예정이다.
산업부 주영준 실장은 “세계적인 표준·안전 인증체계 등이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발빠른 움직임이 중요하며, AAV 관련 해외진출,군수요창출등동시다발적인 전략추진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한편, 행사장에서는 드론이 일상 속에서 적용되는 사례를 체험하는 드론딜리버리(택배)체험, 드론 레저문화의 정착을 위한 팝드론배틀경기, 3:3드론스카이볼대회, 참가업체 제품체험 등 다양한 이벤트도 개최될 예정이다.
또한, 청소년 대상의 ‘군집드론코딩교육 및 시연’이 마련되어 있으며, 드론시뮬레이터를 통한 드론 조종체험도 준비돼 있다.
24일(목) 저녁(19시, 10분 내외)에는 파블로항공의 ‘드론아트쇼’가 밤하늘을 수놓으며, 드론쇼코리아의 개막과 봄의 시작을 알릴 예정이며 관람은 벡스코 야외전시장 지정장소에서 가능하다.
fmebsnews fmebsnews@fmebs.com
<저작권자 © FM교육방송 - FCN,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