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위,「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Korean ID Checker)」시작

[ 기사위치 경제/사회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개인정보위,「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Korean ID Checker)」시작

FM교육방송 - FCN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개인정보위,「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Korean ID Checker)」시작



- 다크웹 등에서 불법 유통되는 계정정보 2,300만건 등 조회 가능 -


- 본인이 직접 유출여부를 확인하고,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 -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윤종인, 이하 ‘개인정보위’)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원태, 이하 ‘진흥원’)은 11월 16일(화) 오전 10시부터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이하 ‘찾기 서비스’, https://kidc.eprivacy.go.kr)를 시작한다.





이 서비스는 이용자{‘2단계 이용자 인증(①이메일 인증, ②계정탈취 방지인증)’을 적용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이메일 계정 하나로 총 5개 계정정보 조회 가능(1일 기준)}가 평소 온라인 상에서 사용하는 계정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유출된 이력을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작년 11월, 개인정보위와 진흥원이 자체 확보한 다크웹 등 음성화 사이트에서 불법 유통되고 있는 국내 계정정보{23백만여건: 일방향 암호화(Hash,해시) 처리된 데이터만을 저장하여 보안성을 높임(평문은 미저장)}와,



구글(Google)의 비밀번호(패스워드) 진단 서비스(40억여건) 등을 활용하여 유출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용자가 조회를 통해 유출 이력을 확인한 경우,


① 내 정보 찾기 서비스 내 ‘안전한 패스워드 선택 및 이용 안내’ 메뉴에 따라 비밀번호를 변경하거나,


② 해당 사이트에서 ‘휴대전화 인증코드 적용’ 등 2차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이를 적용하여 추가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③ 또한, 사용하지 않는 웹사이트의 회원탈퇴를 위해 ‘e프라이버시 클린서비스(https://www.eprivacy.go.kr)’를 이용하여 삭제처리 할 수 있다.



불법 유통되는 계정정보는 명의도용, 보이스피싱 등 각종 범죄에 악용되어 2차 피해로 커질 수 있다.



특히, 대다수 이용자가 여러 웹사이트에서 동일한 계정정보를 사용하고 있어, 찾기 서비스를 이용하여 추가 유출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 아이디는 내가 지킨다”는 생각으로 국민 스스로가 유출 여부를 직접 확인하여 안전하게 계정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송상훈 개인정보위 조사조정국장은 “유관기관 간 협력을 통해 불법 유통되고 있는 ‘이메일, 전화번호 등’을 추가하여 확인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아갈 계획”이라며, “국민에게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비스를 적극 이용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fmebsnews  

<저작권자 © FM교육방송 - FCN,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