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뉴딜2.0 실현을 위한 정밀의료SW 선도계획 발표 !
한국판 뉴딜2.0 실현을 위한 정밀의료SW 선도계획 발표 !
FM교육방송 - FCN | fmebsnews
한국판 뉴딜2.0 실현을 위한 정밀의료SW 선도계획 발표 !
- 클라우드 바우처, 컨설팅 등으로 의료기관 클라우드 대전환 추진 -
- 닥터앤서클리닉(전국 8곳), 닥터앤서2.0, 닥터앤서밀리터리, 닥터앤서소아과 등 닥터앤서 적용 확대 -
- AI앰뷸런스 전국 확산으로 응급환자 치료 골든타임 확보 지원 -
- 닥터앤서 SW 스쿨을 통해 AI 의료SW 전문가 양성 지원 -
-‘닥터앤서’K-의료SW 대표 브랜드로 육성, AI 의료SW 기업 해외진출 지원
- AI 기반 감염병대응, 디지털치료제, 메디컬 메타버스 등 미래 의료서비스 선제적 대응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와 관계부처(복지부, 산업부, 식약처, 소방청 등)는 우리나라가 ‘정밀의료SW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계획을 지난 8.12(목) 제4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경제중대본, 경제부총리 주재)에서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의료계, 의료SW 기업 등의 전문가 의견 수렴 및 관계 부처 협력으로 ① 국민체감 성과확산, ② 세계적 정밀의료SW 생태계 조성, ③ 차세대 의료서비스 준비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3대 전략 11개 세부과제를 마련했다.
먼저, 국민체감 성과를 확산하기 위해서 의료기관의 클라우드 전환을 지원하고, 닥터앤서클리닉을 통해 전국 8개 의료기관에 국산 AI 의료SW도입·지원하며, AI 앰뷸런스도 전국에 단계적으로 보급·확산한다.
두 번째, 세계적 정밀의료SW 생태계 조성을 위해 K-의료 데이터댐과 닥터앤서 플랫폼을 개방하고, 기업들의 AI의료SW 개발 및 의료기기 인허가 제도개선 등을 통해 AI 의료SW 기업의 성장을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차세대 의료서비스를 준비하기 위해 ‘닥터앤서소아과’를 통해 소아희귀질환의 진단범위를 기존 2종에서 8종으로 확대하고, AI 기반 감염병대책, 디지털 치료제 및 메디컬 메타버스 기술을 확보한다.
‘정밀의료SW 선도계획’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국민체감 성과확산
정부는 그동안 추진해온 디지털 뉴딜 정밀의료SW 핵심사업인 ‘클라우드 병원정보시스템’, ‘닥터앤서’, ‘AI앰뷸런스’를 국민 생활 속에 널리 보급·확산하여 국민 체감성과 확산방안을 마련했다.
과기정통부·복지부·행안부를 중심으로 의료분야 클라우드 대전환 논의를 시작하고, 클라우드 바우처 확대·지원으로 의료데이터의 체계적인 축적, 병원 간 진료정보의 교류 활성화 기반을 마련한다.
전국 8개 주요 거점 지역 상급종합병원 또는 건강검진센터를 중심으로 ‘닥터앤서클리닉’을 지정·운영하고, 다양한 AI 의료SW를 보급·지원함으로써 수도권 대형병원에 가지 않고도 거주지 인근에서 고품질의 AI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닥터앤서클리닉은 다양한 AI 의료SW 활용의 장이 될 뿐만 아니라 의료진의 전문성을 보조함으로써 지역간 의료서비스 격차 해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국가응급진료정보망(NEDIS, 복지부)과 소방정보시스템(소방청) 연계를 통해 AI앰뷸런스의 전국적 운영 기반을 마련하고, 광역시도 공모를 통해 초기 도입비(구급차 15대 및 의료기관 4곳 설치장비 예산)를 지원하는 등 단계적 전국 확산을 추진한다.
응급환자 발생장소에서부터 응급의료센터까지 최적의 응급조치 및 신속한 이송을 지원하여 한 사람의 응급환자라도 치료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적극 지원한다.
1·2차 의료기관 및 군 의료기간의 의료서비스 질 개선을 위해 닥터앤서2.0(12대 질환), 닥터앤서밀리터리(9대 질환)를 개발하고, 암 전문 지능형 병리 분석 및 중환자 예후관리 지원 AI 의료SW도 개발하는 AI 적용 범위를 확대한다.
2. 세계적 정밀의료SW 생태계 조성
국내 AI 의료SW 기업이 신속하게 新시장에 진입하여,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AI 의료SW 개발부터 마케팅·해외진출까지 전주기를 지원해줄 수 있는 튼튼한 정밀의료SW 생태계를 조성한다.
데이터댐(의료데이터, aihub.or.kr), 보건의료빅데이터 및 국가바이오빅데이터 등 ‘K-의료데이터댐’을 구축·개방한다.
의료데이터의 가공, AI학습 설계 등의 AI 의료SW 개발 컨설팅을 지원하며, ‘닥터앤서 서비스 플랫폼’을 공유하여 신생기업의 신속하고 안정적인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AI 의료SW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IT기업 재직자 등에게 AI SW 교육을 제공하여 AI 의료SW 개발 및 보급·확산을 촉진하는 한편, 닥터앤서 등 AI 의료SW 사용 의료기관 관계자 교육을 지원하는 ‘닥터앤서 SW 스쿨’도 추진한다.
미국·유럽·일본 등 해외 9개 국에 상표 등록된 닥터앤서 브랜드를 K-의료SW의 대표 브랜드로 육성하고, 전세계로 확산하기 위해 국산 글로벌 플랫폼(국산 클라우드 기반 SNS, 병원정보시스템 등 연관 제품·서비스 동반 진출 지원)과 AI 의료SW를 연계 해외진출을 지원한다.
3. 차세대 의료서비스 준비
정확한 진단에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소아희귀질환 진단, 감염병의 체계적인 대응에 AI를 적용하고, 약물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디지털 치료제, 의료 실습 및 훈련에 활용할 수 있는 메디컬 메타버스 기술 확보를 지원한다.
정확한 진단이 어려워 치료기간도 오래 걸리는 소아희귀질환에 대해 AI 적용 범위를 현재 2종{닥터앤서1.0 2개 질환(발달장애, 난청) → (닥터앤서소아과)} 8개 질환(①희귀유전대사질환, ②선천성 다발기형, ③뇌신경질환, ④유전성심장질환, ⑤유전성신장질환, ⑥염증성장질환, ⑦선천성 면역결핍질환, ⑧소아혈액종양질환)* 진단율 10% 개선에서 8종으로 확대해 환아와 가족이 겪는 고통을 덜어주는 ‘닥터앤서소아과’ 개발을 지원하여 소아희귀질환 AI 진단·치료를 선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또한 수년마다 반복되는 다양한 감염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감염병 현장대응, 유입차단, 역학조사 등 AI 기반 ‘국가방역체계’ 고도화를 추진하고, 감염병 환자의 예후관리에 AI를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생존율 개선과 건강회복을 지원한다.
약물 복약 없이도 유사한 치료효과를 낼 수 있는 SW로 고도화된 디지털치료제를 개발·실증하며, 자폐장애·정서장애 및 중독장애에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치료제를 우선 개발하며, 디지털 치료제를 위한 3가지 실감작용 핵심기술(① 개인 맞춤형 XR 트윈생성 및 시뮬레이션, ② 인체내부 생체정보 가시화, ③ XR상호작용)도 개발 추진한다.
신경근골격계 질환자(뇌손상 등)에 대한 운동 가이드 제공을 위한 고정밀 메디컬 트윈 생성 및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하고, 가상융합(eXtended Reality) 트윈 기술을 의료 실습·훈련에 적용하여 군 응급간호역량 강화와 민간 분야 확산을 지원한다.
과기정통부 임혜숙 장관은 “국민들의 건강한 삶과 직결되는 의료분야에서 국민들이 체감하는 디지털 뉴딜의 성과가 계속 이어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우리나라의 D·N·A 역량을 결집하고, 널리 확산하여 정밀의료SW가 국민들의 건강수명을 연장하고, 새로운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밀의료SW 선도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fmebsnews
<저작권자 © FM교육방송 - FCN,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