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지원으로 제조공장의 녹색전환 확대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지원으로 제조공장의 녹색전환 확대
FM교육방송 - FCN | fmebsnews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지원으로 제조공장의 녹색전환 확대
환경부 차관, 그린뉴딜 정책 추진 1주년에 앞서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기업 현장 방문
2022년까지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사업’으로 제조공장 100곳, 총 1,000여억 원 지원
환경부(장관 한정애)는 그린뉴딜 정책(정부합동으로 2020년 7월 14일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 포함되어 발표) 추진 1주년에 앞서 제조공장을 친환경?저탄소 공장으로 녹색전환을 지원하는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사업’ 추진현황을 점검했다.

사진설명: 스마트공장 생태, 환경부
이에 홍정기 환경부 차관은 6월 23일 오전 경기도 안산시에 소재한 ㈜한국팩키지를 방문하여 친환경 설비 구축 추진현황을 확인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한국팩키지는 우유 종이팩 등을 생산하는 중견기업으로 지난해 9월 환경부에서 공모한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 대상기업에 선정되어, 기존 공장을 녹색공장으로 전환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설명: 주,한국팩키지, 사전예열기 설비, 환경부
㈜한국팩키지는 이번 사업에 정부지원 10억 원을 포함한 총 20억 원을 투입하여 제품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감축하고 폐열 재활용과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로 에너지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빗물 재이용 등 친환경?저탄소 설비를 통합적으로 구축한다.
사진설명: 주,한국팩키지, 빗물 재이용설비, 환경부
또한, 이번 생태공장 구축사업으로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연간 약 145톤(38%)을 줄일 계획이다.
㈜한국팩키지는 폐열 재활용과 태양광발전 설비 등을 통해 연간 600MWh의 에너지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연간 80톤의 온실가스 저감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은 오염물질 배출 비중이 큰 제조공장을 대상으로 공장 개별 특성에 맞게 오염물질 저감, 에너지?자원 효율화, 스마트시설 도입 등 친환경?저탄소 설비 구축을 통합 지원하여 제조공장의 녹색전환을 선도하는 그린뉴딜 사업 중 하나다.
환경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 생태공장’ 100곳을 선정할 계획이며, 선정된 기업에게는 친환경 설비개선 자금 최대 10억 원(총 예산 1,000여억 원)을 지원한다.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은 지난해 총 11곳을 선정한 데 이어, 올해 총 30곳을 선정했고 303억 원 규모의 정부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홍정기 환경부 차관은 “그린뉴딜 정책을 계기로 산업계에서 녹색전환 추진 분위기가 확산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기업의 친환경 경영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며, “스마트 생태공장을 대한민국 2050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는 저탄소 산업 생태계 조성의 핵심 선도사업으로 만들어 가겠다”라고 말했다.
fmebsnews
<저작권자 © FM교육방송 - FCN,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