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전통 놀이, 이제 ‘전통나눔 할아버지’에게 배워요

8월 25일부터 전국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132개 교실에서 ‘전통나눔 할아버지’ 44명 첫 활동 시작

[ 기사위치 생활/문화 ]
글자크기 +
글자크기 -

우리 전통 놀이, 이제 ‘전통나눔 할아버지’에게 배워요

FM교육방송 - FCN | fmebsnews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8월 25일부터 전국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132개 교실에서 ‘전통나눔 할아버지’ 44명 첫 활동 시작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 이하 문체부)는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과 함께 825()부터 1212()까지 전국 어린이집과 유치원, 초등학교 등 132개 교실에서 남성 어르신(56~74)이 참여하는 전통나눔 할아버지시범사업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전통나눔 할아버지이야기 할머니의 성과 잇고, 전통 놀이 등 교육 내용 확대


올해 처음 진행하는 전통나눔 할아버지는 남성 어르신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유아, 아동의 인성을 교육하고 전통문화를 보급하는 사업이다. 기존 이야기 할머니가 아동 인성교육과 세대 간 소통을 촉진해 온 성과를 잇고, 교육 내용을 전통 놀이로 확대하며, 사업 참여 대상과 범주를 남성 어르신으로 확장했다. 할아버지가 선생님이 되어 아이들에게 전통 놀이와 전통 예절 등 우리 전통문화를 알려주고 함께 즐기며 아이들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주고, 지혜를 나눌 것으로 기대된다.


2025년 제1기 전통나눔 할아버지 신규 교육 사진.jpg


이번 시범사업에는 지난 5, 4:1의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뒤 양성 교육 10회를 이수한 전통나눔 할아버지44명이 참여한다. ‘전통나눔 할아버지825일부터 각 시도 교육기관과 연계해 확정한 파견기관에서 24절기 놀이, 승경도 놀이, 산가지 놀이, 윷놀이 등 준비된 수업 교안으로 아이들에게 지혜와 즐거움을 전할 계획이다.


<전통 놀이 설명>

24절기 놀이: 24절기를 주제로 한 그림 맞추기 놀이. 자연의 변화, 농경 활동, 음식, 세시 풍속 등 절기를 상징하는 동시 그림 카드를 게임 형태로 재구성한 교육적 놀이.


승경도 놀이: 조선시대에 즐기던 전통 놀이. 관직 생활을 본떠 만든 도판 위에 나무 주사위를 던져 최고 관직에 오르는 것을 목표로 하는 현대 보드게임과 유사한 놀이.


산가지 놀이: 전통 어린이 놀이 중 하나. 나무 막대기(산가지)를 어린이 수 교육 도구로 활용하며 놀이 형태로 발전. 집중력과 두뇌 발달, 협동심에 도움을 주는 전통 놀이.


image.png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야기 할머니17년 동안 전통문화 전달자이자 아동 인성교육의 살아있는 교과서로 자리 잡은 것처럼, ‘전통나눔 할아버지를 통해 다양하고 깊이 있는 전통 문화자산을 다음 세대에 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문체부는 향후 사업 성과를 면밀히 분석해 이 사업을 전국적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fmebsnews  

<저작권자 © FM교육방송 - FCN,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